12. 답사를 통한 창의력 교육 12. 답사를 통한 창의력 교육 교육 심리학에 ‘아하!’ 실험이라는 게 있다고 한다. 침팬지를 며칠 굶긴 뒤 스스로 뛰어올라서 먹을 수 없는 높이에 바나나를 매달아 놓고 그 공간 한 구석에는 상자를 여럿 둔 다음 침팬지가 어떻게 하는지를 지켜보는 실험이다.(잔인한!) 침팬지는 몇 차례나 뛰어오르.. 답사교육단상 2010.12.13
11. 답사를 통한 아이 삶 가꾸기 11. 답사를 통한 아이 삶 가꾸기 흔히 여행은 독서와 더불어 아이의 삶을 살찌우는 교육법이라고 말한다. 그런데 정말 그럴까? 결론부터 말하면 ‘그렇다!’는 거다. 그럼 어찌해서 여행 혹은 답사나 현장체험활동을 통해 아이의 삶이 풍요로워지는 것일까? 첫째, 안에만 있는 것보다 바깥나들이나 색.. 답사교육단상 2010.12.09
10. 한 발 떨어져서 보기 10. 한 발 떨어져서 보기 신영복 선생님의 글을 읽다보면 한 발 떨어져서 누구나 알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그저 감탄할 뿐이다.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본 뒤, 비쳐진 그대로 사는 삶을 몸소 실천하는 모습이 감동이다. * 지난 2001년 6월 울산 굴렁쇠기자단이 울산문화방송을 찾아가 라디오 방송 스튜디오.. 답사교육단상 2010.12.04
9. 답사교육에 있어서의 사랑 9. 답사교사와 사랑 지난 11월 어느 날, 소설가 이외수 선생님이 날린 트위터 글에서 사랑이 어떠해야 하는지 고민이다. 인생 고개를 예순 다섯 넘기면서 깨친 선생님의 글을 보며 새삼 답사 교육을 하는 내 자신을 돌아본다. 답사교육에 임하는 내 자세. 과연 나는 나를 사랑하는가? 나를 찾아 온 아이를.. 답사교육단상 2010.12.04
8. 아이와 마음을 주고받고 싶으면 8. 아이와 마음을 주고받고 싶으면 세상살이란 서로가 주고받으면서 살아가게 마련인데 주고받음에 균형을 잃으면 조화로운 삶이 아니다. 주고받는 것은 물건만이 아니라 말 한마디, 몸짓 한 번, 정다운 눈길로도 주고받는다. 따듯한 마음이 따뜻하게 전달되고 차디찬 마음이 차디차게 전달된다. 마지.. 답사교육단상 2010.11.30
7. 답사가 즐거우려면? 7. 답사가 즐거우려면? 흔히 답사 가기를 꺼려하는 아이가 있다. 답사를 가봤자 피곤하기만 하고, 재미가 없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아이를 답사에 재미를 가지게 하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 아이가 답사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여러 까닭이 있지만 여기선 그런 건 다 빼고, 답사 교사와 관련된 이야.. 답사교육단상 2010.11.29
6-할아버지, 할머니 같은 교사 할아버지, 할머니 같은 교사가 되자 ! 얼마 전 삼십대 젊은 후배 두 사람이랑 술자리를 가졌다. 그들 둘 또한 서로 선후배 사이다. 그런데 서로 이야기를 나누는 걸 보면서 든 생각..... 결혼 생활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누는데, 아무래도 선배인 친구가 하는 이야기가 좀 더 설득력이 있다고 여겼다. 그런.. 답사교육단상 2010.11.02
5. 여행과 추억 5. 여행과 추억 누구나 여행을 다녀오면 저마다의 추억을 지닌다. 여행은 언제나 추억과 함께 한다. 그러므로 사람은 착각한다. 그 추억에 따라 여행이 달라진다고! 허나 그건 사실이 아니다! 저마다 행한 여행에 따라 그 추억이 다른 거다. 나는 어떤 여행을 했을까? 나는 어떤 추억을 지녔을까? 그대! .. 답사교육단상 2010.10.15
4. 어떤 답사를 할 것인가? 4. 어떤 답사를 할 것인가? 여기서는 답사의 갈래를 말하려는 게 아니다. 답사의 본디 목적, 다시 말해 우리는 왜 답사를 떠나는가에 대한 고민을 말하려는 거다. 어떤 여행을 할 것인가? 어떤 답사를 할 것인가? 우리 아이를 위해 우리는 답사교육을 어떻게 준비하고 해 나갈 것인가? 답사를 통해 아이.. 답사교육단상 2010.10.15
3. 전체를 알아야 잘 보인다 ! 3. 전체를 알아야 잘 보인다 ! 목수가 일을 할 때 머리에 집에 대한 설계도가 그려지지 않으면 집을 제대로 지을 수 없다. 답사교사도 마찬가지다. 답사교사가 그 날 답사에 대한 설계도가 머릿속에 제대로 그려지지 않았는데 어찌 그 날 답사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질 것인가? 훌륭한 목수는 자기가 그린 .. 답사교육단상 2010.10.06